네트워크 CS2 링크 계층(2) _ Ethernet, ARP Ethernet 서브넷이란 같은 네트워크 prefix를 가지고 라우터를 거치지 않아도 서로 접근이 가능한 호스트들의 집합이다. 이 호스트들의 연결이 LAN (Local Area Network)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더넷이란 유선 케이블 상황에서 선택 될 수 있는 매체Medium이다. bus를 활용한 방식은 가운데에 케이블을 두고 각각 케이블을 뚫어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이 요구되고, 모든 노드들이 동일한 충돌 영역에 있어서 서로 충돌할 수 있다. 그래서 현대에서는 star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switch라는 링크 레이어 장비를 중앙에 위치시켜 이 switch가 노드들을 관리하며 서로 충돌이 발생하지 않게 해준다. Ethernet frame structure IP 패킷이 링크 계층으로 내려와 이더넷.. 2023. 7. 20. 네트워크 계층(3) _ DHCP, MTU, IP 단편화 NAT 문제점 복습 여러사람이 같은 주소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주소 공간문제를 해결하는 것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사람들은 각자 고유(내부)의 IP주소를 부여받음 그러나 부여받은 주소는 내부에서만 유일 한 것이고 외부적으로 봤을 때는 유일한 것이 아님 예) 구글 서버에 패킷을 보낸다고 쳤을 때 보내는 패킷의 source IP는 10.0.0.1 이고 dest IP는 구글 가긴 가는데 돌아올 때가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사용하고 있는 IP주소는 유일한 주소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부에서 외부로 나갈 때와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올 때는 Gateway Router를 거쳐 NAT과정을 거쳐야한다. Gateway Router은 패킷이 나갈 때 자기 자신의 IP주소(이건 전 세계적으로 public한 주소임)로 바.. 2023. 7. 17. 이전 1 다음